수급매매가 뭘까? 수급매매라는 말을 안 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듣자마자 내 관심을 기울이기에는 충분했다.주식 수급 매매는 고수만이 알고 있는 고급 거래다 주식과 가상화폐 자동매매 프로그램 제작 의뢰를 통해 알게 된 지인으로부터 수급 매매의 위력을 알았다.또 실제로 그 위력을 눈으로 살펴보면 곧바로 수급매매 프로그램을 만들고 싶어졌다.수급매매 기업단주를 포착하는 알고리즘이 프로그램으로 자동화될 때 비로소 빛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그 이유로 수급매매 단주 포착 프로그램을 만들게 됐고 주식 고수뿐 아니라 주식에 관심이 많은 일반인들에게도 이렇게 소개하고 직접 개발할 수 있도록 자세한 동영상 강의를 찍어 개인투자자도 자본세력이 판치는 주식장에서 돈을 벌 수 있도록 돕고 싶었다.수급 매매를 모르는 사람과 지인은, 전장에서 무기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의 차이라고 한다.그 새로운 세계를 직접 경험하고 값비싼 단주 프로그램을 개발해 자신의 주식투자 기법에 좋은 무기를 들고 전쟁터에 나서기를 권한다.개발 환경에서 필요로 하는 것은 KimOpenAPI와 Visual Studio의 C#프로그래밍 언어이기 때문에 OpenAPI 설치와 Visual Studio 설치부터 하나하나 설명해서 강좌 시작에 어려움을 덜어드리도록 하겠습니다.우선, 이번 강좌에서 제작하는 수급 매매에 대한 상세를 먼저 설명하겠습니다.주식을 어느 정도 해본 분이라면 많은 사람들이 이미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주식을 사고 판다는 사실을 알고 있을 겁니다.특히 기관이나 전문투자자의 경우 프로그램을 이용한 매매를 많이 하고 있습니다.물론 개인 중에서도 프로그램을 이용해 주식을 사고파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생각합니다.여러분,호가창을살펴보면어떤종목에서특정체결량이같은시간간격으로체결되는것을목격할수있습니다. 아마이일을이미알고계신분들도있을테고,아까저를통해서처음알게된분들도있을겁니다.그러면 이런 주문은 누가 할까요? 또 이런 사람들은 왜? 굳이 특정한 체결량을 같은 시간 간격으로 반복해서 주문을 넣는 것일까요?이런 현상은 사람이 직접 매수 주문을 넣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을 이용해 매매를 진행하기 위해서 관측되는 것입니다.그래서 여러분들도 아시다시피 프로그램이란 반복적인 작업에 더 용이합니다.쉽게 말해서, For문 같은 루프문을 이용하면 같은 작업을 여러 번 반복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결국 프로그램을 이용해 매매를 하면 같은 주문량을 같은 시간 간격으로 주문하게 됩니다.이러한 주문이 적지 않기 때문에 호가창 혹은 칙 차트 데이터를 조금만 관심있게 들여다보면 누군가 프로그램을 이용해 반복적인 구매/매도를 진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매매를 하는 사람은 왜 굳이 한 번에 주문하지 않고 여러 번 반복해서 주문을 실행할까요?여러분, 누가 거래소에서 너무 많은 양의 주식을 한꺼번에 사려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죠? 그 종목의 가격이 조만간 순간적으로 오를 겁니다. 결국 많은 양의 주식을 사려고 한 사람은 현재 가격보다 높은 평균 가격으로 주식을 사게 될 겁니다. 또 반대로 대량의 주식을 한꺼번에 팔려고 한다면 당연히 해당 종목의 가격은 급락해 현재 가격보다 낮은 평균 가격에 주식을 팔게 됩니다. 그 종목은 하한가로 내려가기도 합니다.주식을 소량 거래하는 개인의 경우에는 이런 문제를 고민할 필요가 없습니다.하지만 한꺼번에 큰돈을 투자하는 기관이나 세력, 전문투자자들의 경우는 얘기가 달라집니다.그렇기 때문에 큰 금액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을 들여 천천히 사고 천천히 매도함으로써 시장 가격에 최소한의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그렇기 때문에 누군가에겐 프로그램 매매가 반드시 필요한 것입니다.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매매를 하는 사람은 먼저 투자할 종목을 결정합니다.종목이 정해지면 해당 종목에 대한 총 투자금액, 매입 혹은 매도를 진행하는 시간, 그리고 매매 횟수를 결정합니다.매매의 진행 시간을 회수로 나누면 각 주문 사이의 시간이 결정되고 총 투자 금액을 회수로 나누면 1번 주문하실 수량이 결정됩니다.이후 프로그램을 알고 계산된 시간 간격마다 같은 수량의 주문을 넣게 됩니다.지금까지 설명한 특성을 요약하면 누군가 프로그램 매매를 할 때 체결 데이터에 패턴이 발생하게 됩니다.우리는 이러한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어떤 종목이 프로그램 매수 혹은 프로그램 팔리고 있는지를 포착할 수 있습니다. 결국 이 강좌에서 다루려는 내용은 증권사 API를 이용해 체결 데이터를 분석하고 앞으로 프로그램 매매를 파악하는 것입니다.지금까지 들은 내용 중에는 왜 프로그램 매매를 잡으려고 하는지 아직 모르시는 분들도 계실 겁니다.이유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주식 가격이 왜 오르는지 생각해 보면 답은 나옵니다.주가가 왜 오를까요? 당연히 그 주식을 사려는 사람이 많으니 가격이 오르겠죠? 인수하려는 사람이 어떤 의도를 가졌는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수요와 공급의 원리로 인해 구매자가 매물로 내놓으려는 사람보다 많으면 가격이 올라가게 되어 있습니다.사실 매매를 하는 사람의 수는 중요하지 않아요.단 한 사람이라도 많은 수의 주식을 사려면 가격은 올라갑니다.아까 기관이나 세력, 전문 투자가들이 왜 프로그램을 인수한다고 했죠? 그렇죠.많은 수의 주식을 사고팔기 위해서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이해가 되시나요?프로그램 매수를 포착하면 적어도 누군가는 그 종목을 많이 사려고 하는 것을 알 수 있어요. 반대로 프로그램 매도를 포착한다면 누군가는 그 종목을 팔아치우려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죠.물론 이 정보만으로는 100%의 투자 전략을 세울 수 없지만 분명 좋은 지표는 될 것입니다.왜 프로그램 매매를 포착해야 하는지 아시겠죠? 그럼 다음 강좌부터 ‘키움 API’를 이용해서 프로그램 매매를 포착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궁금하신 사항은 메모나 코멘트로 부탁드립니다. ^^아래는 단주 프로그래밍 강좌 1강의에 대한 프리뷰 화상입니다.강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제 카페에 오면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어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