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잠버릇은 흔한 행동이기 때문에 그대로 잠버릇이 심한 건가 하고 끝낼지도 모르지만, 실은 렘수면 행동 장애를 의심해 보는 것이 좋았는데요. 수면은 비렘 수면기와 렘 수면기라고 하는 다른 수면기가 반복이 되었습니다. 이 중 렘수면기는 꿈을 꾸는 수면의 단계입니다. 이런 렘 수면기 동안 근육의 긴장도가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가 있었는데요. 이것을 렘수면행동장애라고 합니다. 렘수면기 동안 근 긴장도가 소실된 상태여야 하는데, 깨어 있을 때처럼 근육의 긴장도가 유지되거나 높아지고 꿈 내용이 실제 행동으로 나타나는 수면 장애라고 했습니다.
대개 중년 남성, 그리고 60대 이후에 잘 나타나는 수면 장애였어요. 렘 수면은 잠의 후반기인 새벽 4~5시경에 잘 나타나기 때문에 렘수면 행동 장애도 주로 새벽에 나오는 것이었습니다. 램수면 행동 장애가 1~2주일에 한번씩, 혹은 매일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지만 격앙된 목소리로 소리를 지르거나 공격적 행동으로 자신과 함께 자는 사람에 손해를 입혔어요. “이러한 렘수면행동장애는 퇴행성뇌질환 초기단계로 파킨슨병, 치매 등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조기진단을 통해 수면장애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자신이나 다른 사람에게 위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렘수면행동장애는뇌줄기세포가손상되고몽수면중에도신체근육이움직이기때문에생기는증상이었는데요. 꿈의 내용을 행동으로 옮기는 만큼 위험한 상태가 될 수 있었습니다. 주로 50대 이후 남성에게 흔히 나타나지만 여성과 젊은 사람에게서도 나타날 수 있었습니다. 렘수면행동장애의 증상으로는 수면 중 혼잣말, 대화하듯 말하기, 외치기, 막말하기 등이 있었는데요. 그 밖에도, 수면 중에 주먹다짐, 발차기, 하이하이, 뛰어내리기, 달리기 등의 행동도 할 수 있어서 위험했습니다. 더 심해지면 문을 열고 밖으로 나갔다가 계단에 넘어져 다치기도 했습니다. 램수면 행동 장애는 연구에 의해서 차이가 있지만 증상을 갖고 있는 사람의 33%에서 파킨슨 병, 65%에서 치매가 발병할 수 있었습니다. 또 다발성경화증에서도 잘 나타났습니다.렘수면행동장애와 몽유병이 생기는 이유는 다양했습니다. 파킨슨, 치매, 다발성경화증과 같은 신경계 질환으로 수면장애가 유발될 수 있으며 우울증, 뇌손상, 알코올 및 약물남용도 렘수면행동장애의 이유가 될 수 있었습니다. 또한 기면증의 증상으로도 렘 수면 행동 장애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만. 렘수면행동장애는 치매, 간질까지 동반될 수 있었고, 다른 수면장애나 수면전환의 가능성이 있었습니다.
>
몽유병은 깊은 잠인 쉬파 수면 중 나타나는 현상으로 뇌가 불완전하게 깨어 있기 때문에 일어났습니다. 몽유병이 있는 사람은 스스로 행동을 통제하지 못하고, 본인이나 주위 사람을 다치게 하는 일도 있었습니다. 소아에게 가끔 나타나는 증상은 나이가 들면 좋아지지만 심하고 지속적인 경우는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뇌전증, 수면장애 등으로 구분해 수면장애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성인이 되어서도 계속되는 몽유병은 반드시 검사하고 치료해야 했습니다. 렘 수면 행동 장애와 몽유병이 심해지는 이유도 여러 가지가 있었습니다. 수면부족,갑상선기능 항진증, 두부손상, 편두통, 수면무호흡장애, 여행, 소아의 경우 열, 신경정신과 약물복용, 음주, 대음, 광외부자극 등으로 이러한 수면장애가 유발되기도 하였습니다.
>
본원에서는 렘 수면 행동 장애를 진단하기 위한 검사 방법으로 수면 다원 검사와 신경 심리 검사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만. 수면다원검사는 어느 수면단계에서 증상이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진단하여 렘수면행동장애를 조장하는 다른 수면질환까지 진단하였습니다. 신경심리검사는 렘수면행동장애를 일으키는 심리적 요소가 있는지를 진단하고 치매까지 조기 진단할 수 있었습니다.저희 병원의 대표원장은 수면장애 치료에 관한 저서도 집필되었는데, 밤낮없이일하는현대사회에서교대근무를하는분들이수면장애로고생하는이야기와수면장애를극복하기위한방법이소개되어있었습니다. 이 책을 통해서 우리 일상생활에서 교대 근무로 인한 육체적, 정신적 고통을 겪고 있는 분들이 많이 고민하는 검사, 진단, 치료 방법과 사례를 간접적으로나마 체험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수면장애에는 여러가지가 있었는데요. 렘수면행동장애, 몽유병뿐만 아니라 이를 갈기, 악몽, 가위눌림, 야간신음소리, 야간식이증후군 등의 증상도 수면장애의 일종이므로 잘 간과하지 말고 저희 병원에 들러 수면장애의 치료를 통해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길 바랐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