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광고에서 많이 보셨겠지만 ‘너에겐 도미나 크림~~!
!
’ 1985년 출시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미백 제품이다.
주성분은 hydroquinone이고, 그 기능은 멜란시티에서 멜란인을 합성하는 과정에서 tyrosinase의 활성을 억제하고 전체적인 색소 합성을 억제한다.
표피색소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하면 유용한 측면이 있는 문제는 하이드로퀴노원 자체가 자극감이 강한 약물이기 때문에 오히려 홍조, 색소침착이 발생하기도 한다.
상기의 연구 결과가 설명하는 바는 자외선 또는 다른 이유로 일어나는 염증이 염증 매개 cytokine을 만들어 내melanocyte을 활성화시켰고 결과적으로 색소의 총량을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미백 연고를 사용하고 오히려 색소가 악화될 경우는 각각의 성분이 자극감 또는 홍조에서 표현되는 염증 반응을 유도하고, 그 반응에 의해서 melanocyte가 활성화 하여 색소의 총량이 늘어나는 원리이다.
또 미백 연고가 색소까지 원활하게 도달하기 위해서 첨가되는 성분이 피부 장벽을 약화시키고 이는 자외선에 취약할 자외선에 손상을 증가시킨다.
다른 표피형의 색소와는 달리 기미에는 더 문제인데, 얼룩이 호발하는 부위는 거의 진피 손상을 수반하는 곳에서 염증 반응에 더 취약하다.
이런 부위에 미백 연고를 반복 도포할 때 염증 반응이 발생하면 거의 얼룩은 악화된다.
일시적 호전이 있어도 장기적으로 심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색소 치료는 진단이 50%이다.
진단이 제대로 돼야 치료 방법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결과 또한 좋은 미백 연고가 좋은 수단이 될 때도 있지만 나쁜 선택이 되는 경우도 있는 미백 연고의 무분별한 사용을 앞두고 바란다.
드미 나쿠 룸에서 더 개선되어 발매된 제품이 메일 라논 크림이다 hydroquinonetretinoinsteroid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tretinoin은 vit.A유도체로 각질을 용해하는 효과가 있어 hydroquinone의 작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첨가된 것이다, tretinoin, hydroquinone모두 자극감이 빠른데 이것을 진정시키기 위해서 steroid를 첨가한 것이다.
미백 연고의 기능 효과의 부작용은 다른 블로그에 투고된 것이 많은 이곳에서 설명하고 싶은 것은 미백 연고 자체가 가진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서 임상에서 색소 치료를 하려고 미백 크림을 바르고 색소가 악화할 많은 색소는 melanocyte가 melanin을 합성한 melanosome의 형태로 보존 이동하는 다인종 간 melanocyte의 숫자에는 차이가 없다, 기능 활성도 차이가 있을 뿐이다